구분 | 내용 |
---|---|
국내 임상 간호사 | 간호학과는 졸업하고는 국내 간호사 국가시험에 합격하면 의료기관의 임상전문 간호과로 활동 할 수 있다. 또한 더 전문적인 교육을 이수하면 전문간호사로서도 활동할 수 있다. 현재 10여개 영역의 전문간호사과정이 있다. ※ 국내 간호사면허 시험과목(총 8과목, 330문항) : 성인간호학(80문항), 모성간호학(40문항), 아동간호학(40문항), 지역사회간호학(40문항), 정신간호학(40문항), 간호관리학(40문항), 기본간호학(30문항), 보건의약관계법규(20문항) |
미국 임상 간호사 | 미국 의료기관의 임상간호사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NCLEX-RN/CAT(National Council Examination for Registered Nurse/Computerized Adaptive Testing)시험이라고 하는 간호사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하고, 취업비자를 받기 위한 일정수준 이상의 영어능력을 함께 갖추어야 한다. 미국은 간호학문이 선진화 되어 있고, 전문직으로서 간호사의 자긍심이 높으며 고액연봉이 보장된다. 또한 의료기관에 근무하면서 미국대학의 석·박사과정을 함께 병행할 수 있다. ※ 미국 NCLEX-RN/CAT 시험과목 : 성인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아동간호학, 정신간호학 |
간호직·보건직 공무원 | 간호직이나 보건직 공무원으로서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보건소에 근무하며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행정자치부 및 각 시·도 주관으로 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행정자치부 및 시·도별로 2월∼12월 중 시행한다. |
산업 간호사 | 사업장 근로자들 건강관리를 하기 위하여 보건관리자로 활동할 수 있다. 즉 사업장별 의무실이나, 보건관리대행기관에서 산업간호사로 일할 수 있다. |
전문 간호사 | 전문간호사는 마취, 보건, 정신, 감염관리, 가정, 산업, 응급, 노인, 중환자, 호스피스 전문간호사 등으로 구분된다. 간호사 면허 취득 후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인가한 전문간호사 양성 교육기관(대학원과정)에서 전문 간호사 과정을 이수하고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
조산사 | 간호사 면허소지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 지정 수습의료기관에서 1년간 조산사 수습과정을 마친 후 조산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자격취득 후 조산원를 개설하거나 산후조리센터를 개설할 수 있다. |
사례관리사 | 건강보험, 의료급여, 산재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가입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232개 시군구청, 근로복지공단(산재보험)에서 사례관리업무에 종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상실무경력 3년 이상을 요구한다. |
보험심사 간호사 | 건강보험, 산재보험, 자동차보험 의료비 심사업무를 담당하거나 생명보험 또는 손해보험회사에서 사고나 질병과 관련된 보험금 지급에 관련된 심사업무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임상실무경력 3년 이상을 요구한다. |
교육기관 및 연구소 | 학사를 취득한 후 석사 이상의 학업을 계속하여 대학에서 강의를 하거나 정부나 대학, 또는 단체가 운영하는 보건·복지·교육 관련 국책연구기관이나 민간연구소 등에서 전문적인 연구ㆍ교육 활동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최소 1-2년간의 임상실무경력이 요구된다. |
간호장교 | 군장병의 건강관리자로서 장교로 복무하며 군병원과 국군간호사관학교 등의 교수로 근무할 수 있다. |